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인정하는 공정서 라는 내용이 많이 나오는데,
과연 어떤 것을 말하는 걸까?
1. 미국약전(U.S. Pharmacopoeia National Formulary), USP/NF
2. 일본약전(The Japanese Pharmacopoeia), JP
3. 영국약전(British Pharmacopoeia)., BP
4. 유럽약전(European Pharmacopoeia), EP
5. 독일약전(Deutsches Arzneibuch), DAB
6. 프랑스약전(Pharmacipee Francaise)
이렇게 6개 공정서가 지정되어 있고,
대한민국약전(Korea Pharmacopoeia) KP 도 심사에서 인정되고 있습니다.
출처: 공정서 및 의약품집 범위지정
반응형
'의약외품 정보 > 의약외품 알아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의약외품에 사용할 수 있는 보존제 (3) | 2022.08.04 |
---|---|
KP와 KQC에 등재된 의약외품 종류 (3) | 2022.06.08 |
의약외품 허가와 신고의 차이 (0) | 2022.05.07 |
의약외품 이란 무엇일까요? (1) | 2022.04.25 |
댓글